그림 1. 우리은하면 전체 중 세페우스 영역(은경 96°∼ 116°)의 파셴알파 영상. 원과 타원은 이 영역에서 발견된 파셴알파 방출 천체들을 표시한 것이다.
사각형으로 표시된 지역은 그림 2에서 지상망원경으로 얻은 H알파 영상과 비교했다.
그림 2. 전리수소영역 Sh2-131 부근에 대한 MIRIS 우주망원경(주경 8㎝)으로 얻은 파셴알파 수소방출선 영상(좌)과 아이작 뉴턴 지상망원경(주경 2.5m)으로 얻은 H알파 수소방출선 영상(우). 성간 소광으로 인해 H알파 영상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DA 568(좌측 하단 부분)은 파셴알파 영상을 통해 확실한 전리수소영역임이 처음으로 밝혀졌다. MIRIS는 크기가 작은 망원경임에도 불구하고 우주망원경으로 개발됨으로써 지상망원경을 뛰어넘는 결과를 전해 준다.
[참고 1. 용어 설명]
1. MIRIS(Multi-purpose InfraRed Imaging System, 다목적적외선 영상관측시스템): 한국천문연구원이 개발한 국내 최초의 적외선 우주망원경. 2013년 11월 발사한 과학기술위성 3호의 주탑재체이다. 약 15개월 동안 관측해 황도 북극, 은하 북극, 은하 남극 방향의 근적외선 우주배경복사와 우리은하면 전체의 파셴알파 수소선 자료를 얻었다. 기본적인 자료 처리과정을 완료 후 2017년 7월에 온라인 웹사이트를 통해 모든 관측 자료가 공개되었다.
- MIRIS 온라인 웹사이트: http://miris.kasi.re.kr/miris/
사진 1. 한국천문연구원이 개발한 국내 최초의 적외선 우주망원경 MIRIS(다목적적외선 영상관측시스템) 모습.
2. 파셴알파(Paschen alpha): 이온화된 수소가 재결합하면서 방출되는 수소방출선으로, 전리수소영역의 관측 수단 중에 하나이다. 파셴알파는 파장이 1.87㎛로서 지상망원경으로 많이 관측되는 또 다른 수소방출선인 H알파(파장 0.6563 ㎛)보다 긴 파장 때문에 성간 티끌에 의한 성간 소광의 영향을 덜 받는다. 따라서 지구로부터 멀리 있거나 분자구름 내부 깊은 곳에 있어서 H알파로는 잘 보이지 않는 전리수소영역을 연구하는 데에는 파셴알파가 더 유리하다. 세페우스 영역에서 기존에 알려진 전리수소 영역은 47개였는데 이번에 한국천문연구원 연구팀은 66개의 숨겨진 전리수소영역을 추가로 발견했다.
3. 성간 소광: 별과 별 사이의 우주 공간은 완전한 진공이 아니며 미세한 고체 입자인 성간 티끌이 존재한다. 따라서 어떤 천체에서 방출된 빛이 지구까지 도달하는 동안 이 성간 티끌에 의해 흡수되거나 산란되어 그 세기가 감소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성간 소광이라 말한다.
[참고 2. 연구팀 및 논문]
○ 연구팀
- 김일중(제1저자 및 교신저자, 한국천문연구원 우주천문그룹 선임연구원), 표정현(한국천문연구원 우주천문그룹), 정웅섭(한국천문연구원 우주천문그룹), 선광일(한국천문연구원 광학천문본부), 타카오 나카가와(Takao Nakagawa)(일본 ISAS/JAXA), 김민규(서울대 & 일본 Genesia Corporation), 박원기(한국천문연구원 우주천문그룹), 이대희(한국천문연구원 우주천문그룹), 이덕행(캐나다 요크대 & 한국천문연구원), 문봉곤(한국천문연구원 우주천문그룹), 박성준(한국천문연구원 우주천문그룹), 박영식(한국천문연구원 우주천문그룹), 토시오 마츠모토(Takao Nakagawa)(ISAS/JAXA & 한국천문연구원), 한원용(한국천문연구원 우주천문그룹)
○ 논문
- 게재지: 천체물리학 저널 증보 2018년 10월 5일자
- 제목: MIRIS Paα Galactic Plane Survey. I. Comparison with IPHAS Hα in l = 96°-116°
[문의]
☎ 042-865-2082, 우주과학본부 우주천문그룹 김일중 박사
첨부파일(5)